오수처리 시설에 유입된 이물질, 불순물 등의 조대물을 제거하고 비중이 높은 자갈, 모래, 금속조각 등을침전 제거하며,
미생물 성장에 장애를 주는 유분, 세제, 거품 등의 이송을 제어합니다.
유량조정조
오수는 건물 용도별로 배출시간에 따라 유입량이 변동되므로 오수유입량을 일정하게 제어하여 처리조에서의
과부하 또는 빈부하를 최소폭으로 완화시킴을 목적으로 하여, 유기물과 활성오니 교반을 위해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합니다.
접속폭기조
호기성 산화방식의 주처리 공정으로 종속 영양체 박테리아에 의해 오수 내의 BOD를 제거하며, 동시에
접촉여재에 부착된 MLSS의 긴 SPT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된 높음 밀도의 독립 영양 박테리아의 생존으로
높은 질산화 효율을 발휘하여 암모니아성 질소를 처리하는 단계입니다.
또한 슬러지를 여재에 고정시킴으로서 유출수의 SS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합니다.
최종참전조
접촉 폭기슬러지를 상향류에 의해 받아 여재에서 탈리된 슬러지를 중력식 침전으로 월류수와 슬러지를
분리시켜 월류수는 유출시키고 슬러지는 질산화물과 함께 침사조를 반송시켜 탈질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일부는 폭기조로 반송하여 폭기조에서의 MLSS 농도를 조절합니다.
소포방류조
유출수를 일시저장하여 폭기조에서 발생하는 거품제거를 위해 소포를 실시하여
상등수는 방류구를 통해 배출시킵니다.